한국인은 원래 선한 품성을 가진 백의민족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작은 벌레의 생명조차도 가볍게 여기지 않았다.
뜨거운 개숫물을 마당에 버릴 때에는 이렇게 외쳤다.
“워이 워이!”
물이 뜨거워 벌레들이 다칠 수 있으니 어서 피하라고 소리친 것이다.
봄에 먼 길을 떠날 때에는 오합혜(五合鞋)와 십합혜(十合鞋), 두 종류의 짚신을 봇짐에 넣고 다녔다. '십합혜'는 씨줄 열 개로 촘촘하게 짠 짚신이고 '오합혜'는 다섯 개의 씨줄로 엉성하게 짠 짚신을 가리킨다.
행인들은 마을길을 걸을 땐 '십합혜'를 신고 걷다가 산길이 나오면 '오합혜'로 바꾸어 신곤 했다. 벌레가 알을 까고 나오는 봄철에 벌레들이 깔려 죽지 않도록 듬성듬성 엮은 짚신을 신은 것이다. '오합혜'는 '십합혜'보다 신발의 수명이 짧았으나 그 만큼 벌레의 수명은 늘어났다.
*콩을 심을 때엔 세 알씩 심었다.
한 알은 땅 속에 있는 벌레의 몫으로,
또 하나는 새와 짐승의 몫으로,
마지막 하나는 사람의 몫으로 생각했다.
*감나무 꼭대기에 ‘까치밥’을 남겨 놓고,
*들녘에서 음식을 먹을 때에도 "고수레"하면서 풀벌레들에게 음식을 던져주었다.
이러한 미덕은 우리의 식문화에도 그대로 배어났다.
여인들은 3덕(三德)이라고 해서 식구 수에 세 명의 몫을 더해 밥을 짓는 것을 부덕(婦德)으로 여겼다.
걸인이나 가난한 이웃이 먹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미국 여류소설가 펄 벅은 장편소설 ‘살아 있는 갈대’에서 한국을 ‘고상한 사람들이 사는 보석같은 나라’로 표현했다.
그녀의 극찬은 한국에서 겪었던 특별한 체험때문 이었다.
1960년 '펄 벅'이 소설을 구상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여사'는 늦가을에 군용 지프를 개조한 차를 타고 '경주'를 향해 달렸다.
노랗게 물든 들판에선 농부들이 추수하느라 바쁜 일손을 놀리고 있었다.
차가 '경주 안강' 부근을 지날 무렵, 볏가리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보였다.
그 옆에는 지게에 볏짐을 짊어진 '농부'가 '소'와 함께 걸어가고 있었다.
'여사'는 차에서 내려 신기한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여사'가 길을 안내하는 통역에게 물었다.
“아니, 저 농부는 왜 힘들게 볏단을 지고 갑니까? 달구지에 싣고 가면 되잖아요?”
“소가 너무 힘들까 봐 농부가 짐을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지요.”
'여사'는 그때의 충격을 글로 옮겼다.
“이제 한국의 나머지 다른 것은 더 보지 않아도 알겠다.
볏가리 짐을 지고 가는 저 농부의 마음이 바로 한국인의 마음이자, 오늘 인류가 되찾아야 할 인간의 원초적인 마음이다.
내 조국, 내 고향, 미국의 농부라면 저렇게 힘들게 짐을 나누어 지지 않고, 온 가족이 달구지 위에 올라타고 채찍질하면서 노래를 부르며 갔을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농부는 짐승과도 짐을 나누어 지고 한 식구처럼 살아가지 않는가.”
*구한말 개화기에 한 선교사가 자동차를 몰고 시골길을 가고 있었다.
그는 커다란 짐을 머리에 이고 가는 할머니를 보고 차에 태워드렸다.
저절로 바퀴가 굴러가는 신기한 집에 올라탄 할머니는 눈이 휘둥그레졌다.
뒷자리에 앉은 할머니는 짐을 머리에 계속 이고 있었다.
“할머니, 이제 그만 내려놓으시지요?"
선교사의 말에 할머니는 순박한 웃음을 지으며 대답했다.
“아이고, 늙은이를 태워준 것만 해도 고마운데, 어떻게 염치없이 짐까지 태워달라고 할 수 있겠소?”
차를 얻어 타고서 차마 머리에 인 짐을 내려놓지 못하는 선한 마음이 우리의 모습이었다.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나라사랑.인간다사랑.지구.해양.환경이살아야.지구촌이다산다.
(사)환경계몽안전보건협회이사장.丁奎鎬드림.
자유시민연합최고지도부.丁基鎬드림.
'좋은 글, 유익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 상(斷 想)* (12) | 2024.09.30 |
---|---|
여민동락(與民同樂) (9) | 2024.09.13 |
〔만 원의 행복〕 (0) | 2024.08.06 |
[별거 없더라] (0) | 2024.07.24 |
친구(親舊)란?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