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03주년 3‧1절을 맞이하여 김구의 맏며느리 안미생 선생 등 219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 독립을 향한 숭고한 헌신과 희생을 널리 선양
□ 이번 포상자는 건국훈장 84명, 건국포장 30명, 대통령표창 105명으로, 앞으로도 정부 주도로 적극적인 독립유공자 발굴 추진
□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제103주년 3‧1절을 맞이하여 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비서로 활약한 김구 선생 맏며느리 안미생 선생과 부산 일신여학교 교장으로 3·11 만세시위를 이끈 호주인 마가렛 데이비스 선생 등 219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84명(애국장 20, 애족장 64), 건국포장 30명, 대통령표창 105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23명이다.
ㅇ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103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후손에게 수여된다.
□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분은 1949년 최초 포상 이래 건국훈장 11,590명, 건국포장 1,471명, 대통령표창 4,224명 등 총 17,285(여성 567명)에 이른다.
□ 앞으로도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지방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독립운동 사료수집 관련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고, 국내외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유형의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 한편, 이번에 포상될 주요 인물의 독립운동 공적은 다음과 같다.
❖ 중경 임시정부의 ‘입’으로 활약한 김구 선생 맏며느리 안미생 선생(여성) |
1940년대 중국 중경에서 한국독립당 당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비서로 활동한 안미생 선생에게 건국포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안중근 선생의 동생인 안정근 선생(‘87 독립장)의 딸이자, 임시정부 주석 김구 선생(‘62 대한민국장)의 맏며느리로, 외국어에 능통하고 국제정세에 밝아 중경 임시정부의 비서로 활약했다. 광복 직후인 1945년 11월 임시정부 요인들이 비행기를 타고 귀국할 때 중간 경유지인 상해 공항에서 밝고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사진 촬영에 임해 남다른 성격과 능력의 소유자였음을 보여준다. 독립운동 명문가로 잘 알려진 안중근 가문과 김구 가문의 만남으로도 기억된다. 부친인 안정근 선생은 물론 오빠 안원생 선생(‘90 애족장), 남편 김인 선생(‘90 애족장)이 이미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바 있어 대를 이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사례로 손꼽힌다. 선생은 안타깝게도 1960년대 미국 이주 후 행적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에서야 선생이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지 않은 채 살다 2008년 쓸쓸히 사망한 사실이 알려져 세인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다. |
❖ 독립만세운동의 횃불을 든 일신여학교 교장 마가렛 데이비스 선생(여성) |
부산 일신여학교 교장으로 동교 학생들의 만세시위를 이끈 호주인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선생(Margaret Sandeman Davies)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19년 3월 11일 부산 일신여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 동교생들의 만세시위를 이끌고, 이후 시위 참가 학생들을 보호하다 체포되어 보안법 위반으로 불기소되었다. 또한 일본이 세계를 대상으로 전쟁에 광분하던 시기인 1940년 3월 호주 장로회의 신사참배 반대 결정을 엄중히 받아들여 이로 인해 일신여학교가 폐교되었고 선생은 호주로 귀국했다. 일신여학교 3월 11일 만세시위는 부산·경남 3.1운동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외국인이 시위 계획·실행과 사후 수습을 주도했다는 점은 놀라운 사실로, 경찰에 체포되어 보안법 위반으로 장시간 조사를 받은 것은 조선총독부가 당시 상황을 얼마나 위중하게 인식했는지 보여준다. 다만 선생은 외국인인 점이 고려되어 기소되지 않았다. 이번 3.1절에는 선생뿐만 아니라 당시 학생감독(기숙사 사감) 이사벨라 벨레 멘지스 선생(Isabella Belle Menzies), 선교사 데이지 호킹 선생(Daisy Hoking) 등 호주인 3명이 일신여학교 만세시위를 이끈 공로로 독립유공자에 서훈되고, 같은 시위에 참여한 일신여학교 학생 12명도 서훈된다. 마침 작년에는 한·호주 양국이 수교 60주년을 맞이한 바 있어, 새로운 10년을 시작하는 올해 더욱 뜻깊은 시간을 갖게 되었다. |
❖ 일본 군경의 유혈 진압에 굴하지 않고 시위 동참을 호소한 천연도 선생 |
전북 남원군 남원시장에서 시위 동참을 호소한 천연도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19년 4월 4일 전북 남원군 남원시장에서 시장에 모인 군중에게 시위 동참을 호소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당시 남원시장의 만세시위는 일본 군경의 잔인한 유혈 진압 중 하나로 기록된다. 사망자 7명, 중상자 10여 명이 발생할 정도로 피해 규모가 컸다. 그만큼 당시 시위가 격렬하게 진행되었고, 시위 확산에 선생이 크게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선생은 당시 만세시위에 적극 참여한 일로 징역 1년 6월을 받았는데, 보안법 위반 최고형이 징역 2년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무거운 처벌이다. |
❖ 지방의 토착 조직을 독립운동에 활용한 주비단원 오수남 선생 |
황해도 일대에서 대한독립군사주비단 단원으로 군자금을 모집한 오수남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20년 12월∼1921년 3월 황해도 해주·연백군 일대에서 독립운동단체의 하나인 대한독립군사주비단 단원으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1920년 말부터 1921년 초까지는 경신참변(庚申慘變)으로 상징되는 한국 독립운동의 침체기로 일컬어진다. 임시정부는 1920년 1월 ‘전쟁의 해’로 선포하고 만주 독립군은 봉오동전투 등에서 값진 승리를 거두었지만, 일본은 봉오동전투 참패 이후 국내외에 대규모 정규군을 투입하여 한인 독립군과 독립운동을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로 인해 독립군과 독립운동단체의 활동은 크게 위축되었다. 선생의 활동은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국내의 독립운동 비밀결사(대한독립군사주비단)가 토착종교인 제우교(濟愚敎)를 활용해 비밀리에 한인의 침체된 독립의식을 일깨우고, 군자금을 모집해 독립군을 지원하는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같은 결사에 징역 2년을 받은 신용섭 선생도 동시에 포상된다. |
❖ 광주학생운동 지지 시위에 앞장선 여학생 안임순 선생 (여) |
서울에서 광주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안임순 선생에게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선생은 1930년 1월 서울에서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당시 선생은 서울에 ‘광주사건 옹호동맹 중앙동맹’이라는 비밀결사를 결성하여 활동하는 등 광주학생운동을 전국적·조직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생은 후일 미국으로 이민하여 1982년 L.A. 3.1여성동지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에 오르는 등 독립정신을 국외 교포사회에 확산시키고자 앞장섰다. |
❖ 재미 한인사회의 단결과 독립운동 연대를 호소한 김공도 선생 (여) |
미국 하와이에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재무 등 민족운동단체 간부로 활동하고, 재미 한인사회의 단결과 독립운동 연대를 촉구한 김공도 선생에게 건국포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44년 이후 미국 하와이에서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재무, 애국부인회 회장, 대한부인구제회 호놀룰루지방 대표원 등으로 활동하고, 재미 한인사회의 단결과 독립운동 연대를 촉구하는 글을 게재했으며,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선생은 1910년 14세의 어린 나이에 혈혈단신 ‘사진신부’로 하와이로 건너갔다. 사진신부는 1900년대 이후 하와이 이민 1세대들이 실물 확인 없이 사진만으로 혼인이 결정된 모국의 신부들을 가리킨다. 선생은 사진신부로 온갖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하와이 한인 여성사회의 지도자로 우뚝 성장했으며, 무엇보다 재미 한인사회의 분열상을 안타까워하며 한인의 단결과 독립운동 연대를 호소했다. |
포상자 명단(219명)
□ 건국훈장 애국장 (20명)
강도형 | 姜道馨 | (국내항일) | 김진화 | 金秦華 | (만주방면) | 이창주 | 李昌周 | (국내항일) | ||
김국선 | 金國先 | (만주방면) | 남석구 | 南錫球 | (의 병) | 전상봉 | 全相鳳 | (만주방면) | ||
김두현 | 金斗現 | (만주방면) | 남준섭 | 南俊燮 | (국내항일) | 조동직 | 趙東直 | (만주방면) | ||
김명하 | 金明河 | (노령방면) | 오수남 | 吳壽男 | (국내항일) | 최기호 | 崔基浩 | (만주방면) | ||
김병연 | 金秉瑌 | (미주방면) | 유학수 | 劉學守 | (의 병) | 한윤석 | 韓允錫 | (만주방면) | ||
김순도 | 金舜道 | (의 병) | 이규억 | 李圭億 | (만주방면) | 한정범 | 韓貞範 | (만주방면) | ||
김인숙 | 金仁淑 | (만주방면) | 이수준 | 李秀峻 | (국내항일) |
□ 건국훈장 애족장 (64명)
강주구 | 姜柱求 | (국내항일) | 문경호 | 文京浩 | (국내항일) | 이종회 | 李鍾繪 | (만주방면) | ||
고경상 | 高慶祥 | (국내항일) | 문병무 | 文炳武 | (중국방면) | 이화석 | 李華碩 | (만주방면) | ||
권순증 | 權舜曾 | (일본방면) | 문성렴 | 文成廉 | (국내항일) | 임동원 | 林東元 | (만주방면) | ||
김건옥 | 金鍵玉 | (광 복 군) | 박경옥 | 朴經玉 | (국내항일) | 장준명 | 張俊明 | (국내항일) | ||
김동환 | 金東煥 | (3.1운동) | 박장규 | 朴章圭 | (만주방면) | 전경욱 | 全慶郁 | (임시정부) | ||
김명찬 | 金明贊 | (만주방면) | 박재천 | 朴在千 | (국내항일) | 전홍석 | 田弘錫 | (3.1운동) | ||
김문수 | 金文洙 | (만주방면) | 박해근 | 朴海根 | (국내항일) | 정도현 | 鄭道賢 | (만주방면) | ||
김민수 | 金珉秀 | (만주방면) | 서창석 | 徐倉錫 | (국내항일) | 정희준 | 鄭熙準 | (3.1운동) | ||
김병성 | 金炳成 | (국내항일) | 석기운 | 石基雲 | (만주방면) | 조경삼 | 趙景三 | (만주방면) | ||
김병원 | 金秉元 | (국내항일) | 신만균 | 申萬均 | (3.1운동) | 조명선 | 趙明善 | (만주방면) | ||
김부경 | 金富卿 | (국내항일) | 신용섭 | 申容燮 | (국내항일) | 조춘식 | 趙春植 | (만주방면) | ||
김상건 | 金尙乾 | (3.1운동) | 심수석 | 沈壽石 | (국내항일) | 주홍익 | 朱鴻翼 | (노령방면) | ||
김상학 | 金相鶴 | (3.1운동) | 심종윤 | 沈鍾胤 | (3.1운동) | 차종수 | 車鍾洙 | (만주방면) | ||
김송죽 | 金松竹 | (광 복 군) | 오국선 | 吳國善 | (만주방면) | 천연도 | 千年桃 | (3.1운동) | ||
김운식 | 金云植 | (3.1운동) | 오천금 | 吳千金 | (만주방면) | 최방덕 | 崔枋德 | (임시정부) | ||
김정쇠 | 金正釗 | (3.1운동) | 윤산악 | 尹山岳 | (3.1운동) | 최준범 | 崔俊範 | (만주방면) | ||
김조윤 | 金祚胤 | (국내항일) | 이기관 | 李祺觀 | (국내항일) | 최화경 | 崔化京 | (만주방면) | ||
김지종 | 金知宗 | (만주방면) | 이길석 | 李吉碩 | (만주방면) | 허운기 | 許雲起 | (만주방면) | ||
김진탁 | 金振鐸 | (3.1운동) | 이병규 | 李秉珪 | (임시정부) | 허원용 | 許元龍 | (국내항일) | ||
김태부 | 金泰富 | (만주방면) | 이보비 | 李寶妣 | (광 복 군) | 홍치범 | 洪治範 | (미주방면) | ||
남수악 | 南壽岳 | (국내항일) | 이월성 | 李月星 | (3.1운동) | 황승권 | 黃承權 | (만주방면) | ||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
Margaret Sandeman Davies |
(독립운동지원) |
□ 건국포장 (30명)
강태규 | 康泰圭 | (국내항일) | 김태양 | 金太陽 | (만주방면) | 이사벨라 벨레 멘지스 |
Isabella Belle Menzies |
(독립운동지원) | ||
곽명숙 | 곽명숙 | (미주방면) | 노덕현 | 盧德賢 | (미주방면) | 이영근 | 李榮根 | (국내항일) | ||
구자현 | 具滋賢 | (만주방면) | 데이지 호킹 |
Daisy Hoking |
(독립운동지원) | 이원식 | 李元植 | (국내항일) | ||
김공도 | 金公道 | (미주방면) | 문경호 | 文慶浩 | (일본방면) | 이하익 | 李夏翼 | (국내항일) | ||
김문황 | 金文黃 | (만주방면) | 박보광 | 박보광 | (미주방면) | 장붕익 | 張鵬翼 | (만주방면) | ||
김복순 | 김복순 | (미주방면) | 박필선 | 朴弼善 | (국내항일) | 장세한 | 張世漢 | (만주방면) | ||
김영수 | 金永秀 | (국내항일) | 안미생 | 安美生 | (임시정부) | 정내의 | 鄭來儀 | (의 병) | ||
김예준 | 金禮俊 | (미주방면) | 오택렬 | 吳宅烈 | (3.1운동) | 정순길 | 鄭順吉 | (3.1운동) | ||
김진일 | 金震一 | (중국방면) | 윤보민 | 尹寶民 | (중국방면) | 조남권 | 趙南權 | (국내항일) | ||
김치명 | 金致明 | (미주방면) | 윤창배 | 尹昌培 | (미주방면) | 최응선 | 崔應善 | (미주방면) |
□ 대통령표창 (105명)
강묘례 | 姜卯禮 | (학생운동) | 김팔봉 | 金八奉 | (3.1운동) | 백선옥 | 白先玉 | (3.1운동) | ||
강석희 | 姜錫熙 | (3.1운동) | 나성순 | 羅性順 | (학생운동) | 백완현 | 白完鉉 | (학생운동) | ||
강용삼 | 姜用三 | (3.1운동) | 남상만 | 南相萬 | (3.1운동) | 백칠용 | 白七龍 | (3.1운동) | ||
국귀선 | 鞠貴善 | (학생운동) | 노간란 | 盧干蘭 | (학생운동) | 서병언 | 徐炳彦 | (3.1운동) | ||
권병주 | 權丙周 | (국내항일) | 문수옥 | 文壽玉 | (국내항일) | 성낙의 | 成樂毅 | (국내항일) | ||
권병호 | 權炳瑚 | (의 병) | 문우열 | 文宇烈 | (국내항일) | 손익희 | 孫益熙 | (3.1운동) | ||
김 구 | 金龜 | (국내항일) | 문재봉 | 文在鳳 | (3.1운동) | 송기옥 | 宋基玉 | (3.1운동) | ||
김규정 | 金奎正 | (3.1운동) | 민영순 | 閔泳淳 | (3.1운동) | 송완옥 | 宋完玉 | (3.1운동) | ||
김근규 | 金根圭 | (3.1운동) | 민의식 | 閔宜植 | (미주방면) | 송 홍 | 宋鴻 | (국내항일) | ||
김기봉 | 金奇鳳 | (3.1운동) | 박노경 | 朴魯敬 | (3.1운동) | 신창주 | 辛昌珠 | (3.1운동) | ||
김기원 | 金基元 | (국내항일) | 박노휘 | 朴魯輝 | (3.1운동) | 심응주 | 沈應宙 | (국내항일) | ||
김동섭 | 金東燮 | (3.1운동) | 박명서 | 朴命緖 | (3.1운동) | 안경화 | 安敬和 | (국내항일) | ||
김명준 | 金命俊 | (3.1운동) | 박병완 | 朴炳完 | (국내항일) | 안임순 | 安壬順 | (학생운동) | ||
김미동 | 金美東 | (국내항일) | 박봉매 | 朴鳳梅 | (학생운동) | 안종태 | 安鍾泰 | (3.1운동) | ||
김병식 | 金炳植 | (3.1운동) | 박봉순 | 朴奉旬 | (학생운동) | 오수남 | 吳壽南 | (국내항일) | ||
김상추 | 金商秋 | (국내항일) | 박양래 | 朴養來 | (미주방면) | 오인환 | 吳仁煥 | (3.1운동) | ||
김숙이 | 金淑伊 | (3.1운동) | 박윤세 | 朴允世 | (3.1운동) | 우제홍 | 禹濟弘 | (학생운동) | ||
김영찬 | 金英贊 | (3.1운동) | 박의범 | 朴宜範 | (국내항일) | 원용팔 | 元用八 | (3.1운동) | ||
김원보 | 金元甫 | (3.1운동) | 박주완 | 朴周完 | (국내항일) | 유병옥 | 兪炳玉 | (3.1운동) | ||
김재만 | 金在萬 | (3.1운동) | 박찬묘 | 朴贊妙 | (학생운동) | 유복윤 | 柳福潤 | (국내항일) | ||
김차순 | 김차순 | (미주방면) | 박창룡 | 朴昌龍 | (3.1운동) | 유연봉 | 柳年奉 | (3.1운동) | ||
김춘석 | 金春錫 | (3.1운동) | 박홍언 | 朴洪彦 | (국내항일) | 유희찬 | 劉熙贊 | (미주방면) |
윤기석 | 尹基錫 | (국내항일) | 이조승 | 李潮承 | (국내항일) | 주성일 | 朱聖日 | (3.1운동) | ||
이강진 | 李康珍 | (국내항일) | 이진규 | 李眞奎 | (3.1운동) | 주창일 | 朱昌日 | (3.1운동) | ||
이기삼 | 李基三 | (미주방면) | 이하섭 | 李夏燮 | (국내항일) | 지두한 | 池斗漢 | (노령방면) | ||
이동성 | 李東成 | (국내항일) | 이훈구 | 李勳久 | (의 병) | 지축생 | 池丑生 | (국내항일) | ||
이두생 | 李斗生 | (국내항일) | 이희섭 | 李喜燮 | (국내항일) | 최보림 | 崔普林 | (3.1운동) | ||
이민상 | 李敏相 | (3.1운동) | 장기남 | 張基南 | (3.1운동) | 최봉식 | 崔鳳植 | (3.1운동) | ||
이병두 | 李秉斗 | (국내항일) | 장봉원 | 張鳳源 | (국내항일) | 최중옥 | 崔重玉 | (3.1운동) | ||
이사원 | 李士元 | (3.1운동) | 장세환 | 張世煥 | (3.1운동) | 추해룡 | 秋海龍 | (3.1운동) | ||
이심동 | 李深洞 | (국내항일) | 장창선 | 張昌善 | (국내항일) | 팽종교 | 彭鍾敎 | (3.1운동) | ||
이양수 | 李陽秀 | (3.1운동) | 전종철 | 全宗喆 | (3.1운동) | 허군청 | 許君淸 | (3.1운동) | ||
이옥금 | 李玉今 | (학생운동) | 정기술 | 丁基述 | (3.1운동) | 홍흥식 | 洪興植 | (국내항일) | ||
이유섭 | 李有燮 | (국내항일) | 정흥성 | 鄭興成 | (미주방면) | 황대만 | 黃大萬 | (3.1운동) | ||
이육상 | 李陸相 | (3.1운동) | 조병선 | 趙秉璇 | (3.1운동) | 황용하 | 黃龍河 | (3.1운동) |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남의진 의병활동 이훈구의사 포상 (0) | 2022.03.03 |
---|---|
2022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군산 3·5만세운동을 주도한 이두열·고석주·김수남·윌리엄 린튼 선생 (0) | 2022.02.28 |
2022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좌우통합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강기덕(康基德) 선생 선정 (0) | 2022.01.31 |
‘2022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제주해녀항일운동을 주도한 부춘화(夫春花)·김옥련(金玉連)·부덕량(夫德良) 선생 선정 (0) | 2021.12.31 |
‘2021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연해주 항일단체인 ‘권업회’를 주도한 이종호(李鍾浩)·김학만(金學萬)·최봉준(崔鳳俊) 선생 선정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