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부춘화·김옥련·부덕량 선생을 ‘2022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에 선정된 세분의 선생은 1931~1932년에 걸쳐 제주도 일대 해녀들을 중심으로 일제와 해녀조합의 수탈과 착취에 항거한 제주해녀항일운동*을 주도한 분들로서,
* 제주해녀항일운동 : 일제강점기 여성들이 주체가 된 민족운동으로, 연인원 1만 7천여 명이 참여한 제주도 최대 항일운동임
ㅇ 국가보훈처에서 「이달의 독립운동가」선정사업을 시작한 1992년 이래 건국포장자로는 처음으로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으며, 제주도 출신으로도 처음이다.
□ 세분의 선생 모두 제주도 구좌면(현, 구좌읍) 출생으로, 부춘화(1908~1995) 선생은 15세에, 김옥련(1907~2005) 선생은 9세에, 부덕량(1911~1939) 선생은 13세에 가족 생계에 보탬을 위해 어린 나이에 해녀 생활을 시작했다.
ㅇ 당시 제주도의 토지는 척박하여 여성이라면 해녀 생활을 하지 않으면 살아가기 어려웠고, 근대 교육은 꿈도 꾸지 못했다.
ㅇ 그러나 선생들은 1928년부터 1931년까지 하도보통학교 야학강습소에서 함께 공부하고 근대 항일·민족의식을 깨우치기 시작했다.
□ 1930년 해녀조합의 우뭇가사리 해조류 부정판매에 항의하던 하도리 청년들이 일제 경찰에 검거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하도리 해녀들도 함께 저항하기 시작하였다.
ㅇ 이듬해인 1931년 12월 일제의 해녀 착취에 항의하기 위해 세분은 하도리 해녀 회의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
ㅇ 1932년 1월 12일은 제주시 구좌면 세화리 장날이자, 제주도사(현, 제주도지사) 겸 해녀조합장이 부임 후 순시하러 구좌면에 오는 날에 하도리 해녀들을 포함한 제주 일대 해녀들이 호미와 비창(전복을 따는 도구)을 휘두르며 시위를 시작했다.
ㅇ 특히, 세분의 선생은 해녀들을 규합하며 시위에 앞장섰고, 모든 해녀 투쟁 참여자를 대표하여 “도사의 조합장 겸직 반대, 일본 상인 배척” 등의 요구조건 관철을 위해 제주도사와 직접 협상했다.
ㅇ 이러한 과정에 위협을 느낀 제주도사는 요구조건을 5일 내에 해결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제주도사가 돌아간 이후 일제는 무장경찰을 출동시켜 1월 23일부터 27일까지 34명의 해녀 주동자들과 수십명의 청년들을 체포했다.
ㅇ 세분의 선생은 경찰에 체포되어 미결수로 수 개월간 경찰서 유치장에 수감되어 고초를 겪었고, 안타깝게도 부덕량 선생은 고문 후유증으로 몸이 극도로 쇠약하여 28세 나이로 사망했다.
□ ‘제주해녀항일운동’은 일제의 부당한 경제적 차별과 수탈, 그리고 억압에 저항한 조직적인 투쟁으로써, ‘법정사항일운동’, ‘조천만세운동’과 함께 제주 3대 항일운동의 하나로 꼽힌다.
□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부춘화 선생에게 2003년 건국포장을, 부덕량 선생에게는 2005년 건국포장
을 각각 추서했으며, 김옥련 선생에게 2003년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3주년 3.1절」 안미생 선생 등 219명 독립유공자 포상 (0) | 2022.02.27 |
---|---|
2022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좌우통합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강기덕(康基德) 선생 선정 (0) | 2022.01.31 |
‘2021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연해주 항일단체인 ‘권업회’를 주도한 이종호(李鍾浩)·김학만(金學萬)·최봉준(崔鳳俊) 선생 선정 (0) | 2021.12.01 |
제82주기 순국선열의 날 (0) | 2021.11.17 |
‘2021년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죽음으로 민족정신을 지킨 ‘홍만식(洪萬植)·이상철(李相哲)·김봉학(金奉學)·이건석(李建奭) 선생’ 선정 (0) | 2021.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