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관련

"제76주년 광복절" 박창신 선생 등 24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

용화(龍華) 2021. 8. 14. 17:37
728x90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 76주년 광복절을 맞아 1919년 충남 천안에서 광부들의 만세시위를 이끈 박창신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으로 미국에서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앞장선 안필립 선생 등 24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65(애국장 12, 애족장 53), 건국포장 30, 대통령표창 152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14명이다.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76주년 광복 계기로 유족에게 수여된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분은 1949년 최초 포상 이래 건국훈장 11,465, 건국포장 1,422, 대통령표창 4,045명 등 총 16,932(여성 540)에 이른다.

앞으로도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지방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독립운동 사료수집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고, 국내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포상될 주요 인물의 독립운동 공적은 다음과 같다.

 

1929광주역 사건의 수모를 연대시위로 갚은 최심 선생(여성)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한 최심 선생에게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선생은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이던 192911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주동자로 퇴학 처분을 받았다.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는 광주역에서 일본인 중학생에게 댕기머리를 잡히는 수모를 당한 조선인 여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였다. 선생은 동교생이 당한 수모에 연대시위로 저항한 것이었다. 이 소식이 광주 시내에 알려지면서 광주 소재 학교 학생들이 대거 시위에 나섰고, 이는 다시 조선인의 민족적 공분을 자극하여 전국 250개 학교 54천여 명의 학생이 참여함으로써 또 하나의 거족적 민족운동으로 발전했다.
3.1운동 1주년에 식민통치기관을 향해 대한 독립을 선포한 이종철 선생
전북 고창군에서 면사무소 앞에 대한독립이라는 문구를 넣은 깃발을 제작해 세운 이종철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20310일 밤 전북 고창군에서 3.1운동 1주년을 기념하여 태극 문양과 대한독립이라는 문구를 그려 넣은 종이 깃발 만들어 성내면사무소 공터에 세워두었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다.
3.1운동 1주년을 앞두고 경계가 삼엄했을 면사무소 앞에 태극 문양과 대한독립을 쓴 깃발을 세운 것은 매우 대담한 행위로 평가된다. 이 활동은 3.1운동의 열기가 1919년 한 해에 그치지 않고, 매년 정기화됨으로써 한인의 독립을 향한 열망을 공유연장확산시키는 계기로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3.1운동은 최초의 거족적 민족운동으로, 국내는 물론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 한인 동포가 거주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매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일본의 허구적 농업정책에 맞서 비밀결사로 저항한 이효선 선생
강원도 춘천군에서 춘천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학생비밀결사인 독서회를 조직해 활동한 이효선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춘천공립농업학교 3학년 재학 중 교내에 조선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 독서회를 결성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 받았다.
이효선 선생 등은 교내 독서회를 통해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농민층에 확산시킨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이 활동은 일제 말기에 접어들면서 조선의 피폐해진 농촌 현실을 직시하며 일본의 허구적 농업정책에 저항하는 학생세력이 조선총독부의 감시와 탄압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같은 결사에 참여한 5분이 동시에 포상된다.
일본의 총칼에 맞서고 잔혹한 형벌에 쓰러져간 청년 정대홍 선생
충남 예산군에서 일본 경찰의 총칼에 맞서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형을 받은 정대홍 선생에게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선생은 19193월경 충남 예산군에서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 60()를 받았다. 태형은 신체 일부에 폭력을 가하는 전근대적, 비인격적 형벌, 조선인에게만 적용되었고, 신체 불구나 심한 후유증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정대홍 선생은 태형을 받은 뒤 불과 15개월만인 192230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 이는 일본이 조선에 대한 식민통치 과정에서 자행한 제도화된 폭력의 전형을 보여준다.
국가보훈처는 2018년 독립유공자 포상기준 개선을 통해 태 90도 미만인 분들도 포상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였다. 정대홍 선생과 마찬가지로 충남 예산군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태형 90도 미만의 태형을 받은 30명도 이번에 대통령표창이 수여된다.
미국에서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앞장선 안필립 선생
미국에서 일본의 한국 침략을 비판하고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한 안필립 선생에게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선생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으로, 193812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일본의 한국 침략을 비판하는 연설을 하고, 194010월 한국광복군 창설 축하식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된 한미친우회를 관리하였으며, 19423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주관한 한국일행사에서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연설을 하였다. 선생이 독립운동에 나선 1938년은, 아버지 안창호가 머나먼 고국에서 기나긴 옥고 끝에 숨을 거둔 해였다.
선생은 태평양전쟁기에 미군에 징집되어 참전하였고, 미국 헐리우드 영화계에 진출한 최초의 아시아계로도 기억된다. 1950~70년대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여 아시아계의 자긍심을 높였고, 헐리우드 명예의 거리에도 이름을 올렸다. 아버지 안창호 선생(1962건국훈장 대한민국장)뿐만 아니라 어머니 이혜련 여사(2008년 건국훈장 애족장)도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어 독립운동 명문가로 손꼽힌다.

 

미국에서 고국의 창공을 꿈꾼 비행사 손이도 선생
미국에서 윌로우스 비행학교에 입교해 비행교육을 받고 1944년 주미외교위원부에서 활동한 손이도 선생에게 건국포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낸 손정도 선생의 동생으로, 19203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차장 노백린 선생이 운영하는 윌로우스 비행학교에 입교해 비행교육을 받았다. 이밖에도 1920이래 새크라멘토, 시카고 등지에서 대한인국민회와 구미위원부가 주최하는 독립기념식에 참석하고, 1944 주미외교위원부 협찬부 서기 활동하였으며, 1918~1942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제공했다.
선생뿐만 아니라 첫째 형인 손정도 선생(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둘째 형인 손경도 선생(2020년 건국포장)도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어 3형제가 독립유공자가 된 흔치 않은 사례이다.

 

 * 정부 포상자 명단(247명)

 

건국훈장 애국장 (12)

강옥성 姜玉成 (만주방면) 고인섭 高仁燮 (만주방면) 고재경 高哉景 (국내항일) 남규진 南奎振 (의 병)

노성화 盧性化 (의 병) 박문병 朴文秉 (일본방면) 박병하 朴邴夏 (일본방면) 이용권 李龍權 (만주방면)

이치옥 李致玉 (의 병) 임태순 林泰淳 (만주방면) 정인교 鄭寅敎 (중국방면) 홍필삼 洪必三 (3.1 운동)

 

건국훈장 애족장 (53)

강영렬 姜泳烈 (노령방면) 강찬오 姜讚吾 (의 병) 강창렬 姜昌烈 (만주방면) 곽덕규 郭德奎 (국내항일)

권우섭 權宇燮 (국내항일) 권혁민 權爀民 (학생운동) 김관순 金寬淳 (3.1 운동) 김낙선 金洛善 (노령방면)

김두섭 金斗燮 (학생운동) 김두환 金斗煥 (3.1 운동) 김석이 金石伊 (3.1 운동) 김승원 金承元 (학생운동)

김영진 金英鎭 (만주방면) 김은택 金恩澤 (3.1 운동) 김응일 金應一 (만주방면) 김종부 金鍾富 (3.1 운동)

김진운 金進云 (국내항일) 김진휘 金鎭暉 (3.1 운동) 김태경 金太京 (3.1 운동) 김현규 金玄圭 (의 병)

남정섭 南廷燮 (만주방면) 노말수 盧末守 (3.1 운동) 박진호 朴鎭浩 (일본방면) 박찬하 朴贊夏 (학생운동)

박창신 朴昌信 (3.1 운동) 서정섭 徐廷燮 (국내항일) 서찬술 徐贊述 (국내항일) 송봉룡 宋鳳龍 (학생운동)

신종걸 申宗杰 (일본방면) 신태형 申泰亨 (만주방면) 양용호 楊用浩 (의 병) 이관섭 李官涉 (만주방면)

이 달 李 達 (일본방면) 이성린 李聖麟 (국내항일) 이승봉 李承鳳 (의 병) 이종원 李鍾元 (의 병)

이종철 李鍾喆 (국내항일) 이형욱 李亨郁 (노령방면) 이효선 李孝善 (학생운동) 임석현 林錫鉉 (3.1 운동)

전대화 全大華 (만주방면) 전두남 全斗南 (3.1 운동) 정기형 鄭起衡 (만주방면) 정덕필 鄭德必 (의 병)

진영규 陳永奎 (미주방면) 차종로 車宗路 (만주방면) 채성하 蔡聖河 (노령방면) 최중희 崔重熙 (만주방면)

최해일 崔海日 (일본방면) 한문원 韓文源 (3.1 운동) 현용환 玄用煥 (만주방면) 홍이관 洪利寬 (만주방면)

황신흠 黃信欽 (국내항일)

 

건국포장 (30)

강석희 姜錫熙 (국내항일) 권학동 權學洞 (의 병) 김봉희 金鳳熙 (미주방면) 김성암 金星岩 (3.1 운동)

김창락 金昌洛 (3.1 운동) 김택근 金澤根 (3.1 운동) 김필례 金弼禮 (국내항일) 김희봉 金喜鳳 (3.1 운동)

남병린 南秉麟 (만주방면) 노형달 盧炯達 (미주방면) 박영수 朴永壽 (국내항일) 박용산 朴用産 (국내항일)

박인길 朴仁吉 (국내항일) 서병언 徐炳彦 (국내항일) 손시응 孫時應 (만주방면) 손이도 孫利道 (미주방면)

신봉규 申鳳圭 (국내항일) 신용균 申龍均 (국내항일) 심상목 沈相穆 (미주방면) 안대봉 安大鳳 (3.1 운동)

오무성 吳戊星 (3.1 운동) 윤은섭 尹殷燮 (미주방면) 이영옥 영옥 (미주방면) 임백춘 林伯春 (국내항일)

정학수 鄭鶴壽 (노령방면) 조덕중 曺德仲 (미주방면) 최명희 崔明熺 (3.1 운동) 한준상 韓俊相 (미주방면)

허영보 許永甫 (미주방면) 형광욱 邢光旭 (국내항일)

 

대통령표창 (152)

강우중 姜宇中 (학생운동) 고덕진 高德鎭 (3.1 운동) 고점수 高占水 (국내항일) 김규찬 金奎燦 (의 병)

김기홍 金基弘 (일본방면) 김동욱 金東旭 (3.1 운동) 김상옥 金相玉 (3.1 운동) 김성규 金聖圭 (일본방면)

김성수 金晟洙 (3.1 운동) 김성암 金成岩 (3.1 운동) 김승배 金承培 (3.1 운동) 김영수 金永洙 (3.1 운동)

김용태 金容泰 (3.1 운동) 김우제 金宇濟 (3.1 운동) 김월성 金月成 (3.1 운동) 김이기 金利基 (3.1 운동)

김찬진 金瓚鎭 (국내항일) 김창록 金昌祿 (3.1 운동) 김치국 金致國 (3.1 운동) 김태봉 金泰奉 (3.1 운동)

김태현 金台鉉 (3.1 운동) 김학술 金學述 (3.1 운동) 나부석 羅富碩 (3.1 운동) 나순덕 羅順德 (학생운동)

노종선 魯宗善 (국내항일) 노형봉 魯炯琫 (국내항일) 류인성 柳寅聖 (국내항일) 문소원 文小源 (3.1 운동)

박동근 朴東根 (3.1 운동) 박동복 朴同福 (3.1 운동) 박복만 朴福萬 (3.1 운동) 박영진 朴榮鎭 (3.1 운동)

박일춘 朴一春 (3.1 운동) 박초길 朴初吉 (3.1 운동) 박한정 朴漢正 (3.1 운동) 방계환 方季煥 (3.1 운동)

방선봉 方先鳳 (3.1 운동) 서태규 徐太圭 (국내항일) 설정순 薛貞順 (학생운동) 신달용 申達用 (3.1 운동)

신매손 申梅孫 (3.1 운동) 신업이 申業伊 (3.1 운동) 신인선 申仁善 (3.1 운동) 안신덕 安信德 (국내항일)

안필립 安必立 (미주방면) 양재성 楊在成 (3.1 운동) 예승준 芮承俊 (만주방면) 오익렬 吳益烈 (국내항일)

우상현 禹相玄 (3.1 운동) 원용은 元容殷 (3.1 운동) 유연태 柳淵泰 (3.1 운동) 유재춘 兪載春 (3.1 운동)

유한종 劉漢鍾 (3.1 운동) 윤계현 尹啓賢 (3.1 운동) 윤상오 尹相五 (3.1 운동) 윤수덕 尹壽德 (국내항일)

윤재환 尹載煥 (일본방면) 윤칠영 尹七榮 (3.1 운동) 이광섭 李光燮 (국내항일) 이규석 李圭碩 (3.1 운동)

이기삼 李己三 (3.1 운동) 이덕칠 李德七 (3.1 운동) 이덕흠 李德欽 (국내항일) 이동순 李東順 (국내항일)

이명지 李明智 (학생운동) 이명진 李明鎭 (3.1 운동) 이상국 李象國 (국내항일) 이상옥 李相玉 (3.1 운동)

이서구 李書九 (3.1 운동) 이송자 李松子 (학생운동) 이용학 李容學 (3.1 운동) 이원복 李元福 (3.1 운동)

이은화 李殷和 (3.1 운동) 이인교 李仁敎 (국내항일) 이장용 李璋容 (국내항일) 이 정 李 正 (학생운동)

이정백 李貞白 (3.1 운동) 이정석 李正錫 (3.1 운동) 이정임 李貞任 (학생운동) 이종갑 李鍾甲 (3.1 운동)

이주섭 李周燮 (3.1 운동) 이중창 李中昶 (국내항일) 이지근 李枝根 (3.1 운동) 이진동 李鎭東 (3.1 운동)

이출이 李出伊 (3.1 운동) 이회원 李會元 (3.1 운동) 이희주 李羲周 (3.1 운동) 장갑식 張甲植 (3.1 운동)

장산용 張山容 (3.1 운동) 장연용 張淵龍 (3.1 운동) 전달호 全達浩 (3.1 운동) 전순옥 田順玉 (학생운동)

정계호 鄭啓好 (3.1 운동) 정대홍 丁大洪 (3.1 운동) 정두표 丁斗杓 (국내항일) 정석호 鄭錫好 (3.1 운동)

정예술 鄭禮述 (국내항일) 정옥섭 丁玉燮 (3.1 운동) 정인구 鄭寅九 (3.1 운동) 정준희 丁俊熙 (3.1 운동)

정증쇠 鄭曾釗 (3.1 운동) 정진성 鄭鎭成 (3.1 운동) 정창희 鄭昌熙 (학생운동) 정향수 鄭香秀 (3.1 운동)

조덕원 趙德元 (3.1 운동) 조세기 趙世基 (3.1 운동) 조정애 曺貞愛 (학생운동) 조학선 趙學先 (3.1 운동)

주광순 朱光淳 (3.1 운동) 주예식 朱禮植 (3.1 운동) 주태순 朱泰淳 (3.1 운동) 지경숙 池敬叔 (3.1 운동)

진덕용 陳德容 (3.1 운동) 진성칠 陳成七 (3.1 운동) 진양현 陳良鉉 (3.1 운동) 차흥서 車興瑞 (만주방면)

최규관 崔圭觀 (국내항일) 최덕인 崔德仁 (3.1 운동) 최동민 崔東珉 (국내항일) 최만년 崔萬年 (국내항일)

최만득 崔萬得 (3.1 운동) 최명수 崔明秀 (3.1 운동) 최석봉 崔錫鳳 (3.1 운동) 최성종 崔性鍾 (3.1 운동)

최순용 崔順龍 (3.1 운동) 최승삼 崔承三 (3.1 운동) 최 심 崔 心 (학생운동) 최옥동 崔玉童 (3.1 운동)

최용도 崔龍道 (국내항일) 최용식 崔鎔植 (학생운동) 최용채 崔龍彩 (국내항일) 최일신 崔日新 (3.1 운동)

최종일 崔宗一 (임시정부) 최중교 崔仲交 (3.1 운동) 최창수 崔昌洙 (국내항일) 표생규 表生奎 (국내항일)

한복록 韓福祿 (3.1 운동) 한수자 韓壽子 (학생운동) 한지석 韓智錫 (3.1 운동) 한진천 韓鎭千 (3.1 운동)

한춘근 韓春根 (3.1 운동) 한흥석 韓興錫 (3.1 운동) 허기훈 許基塤 (3.1 운동) 허 봉 許 奉 (3.1 운동)

호소회 扈所回 (3.1 운동) 홍용표 洪鏞杓 (3.1 운동) 황갑수 黃甲壽 (국내항일) 황성근 黃成根 (3.1 운동)

황성조 黃聖祚 (3.1 운동) 황준성 黃俊性 (3.1 운동) 황중수 黃仲秀 (3.1 운동) 황태성 黃台性 (3.1 운동)

 

출처 :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