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길용(1899~미상)·송진우(1890~1945)·여운형(1886~1947 )선생을 ‘2021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세 명의 선생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가슴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한 ‘일장기 말소사건’의 실행자와 언론사 책임자들로 암울한 시기에 민족정신을 새롭게 일깨운 역할을 했다.
□ 1936년 8월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했던 조선 청년 손기정은 마라톤 경기에서 2시간 29분 19초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ㅇ 당시 손기정의 쾌거는 일제 식민지배로 고통받던 우리 국민들에게 “조선의 청년이 세계를 제패했다”라며 큰 자부심과 긍지이자 희망이 되었다.
ㅇ 그러나, 이날 시상식에서 월계관이 수여되는 순간에 ‘기테이 손’이라는 일본식 이름이 호명되었고 일장기가 게양되었으며, 기미가요가 흘러나왔기 때문에 우승에도 불구하고 손기정은 고개를 떨궈야 했고, 훗날 ‘세상에서 가장 가슴 아픈 시상식’으로 불리게 되었다.
ㅇ 아울러 일제와 일본어 발행 신문들은 일본인으로서 ‘손 기테이’를 일제히 칭송하고 나섰다.
ㅇ 당시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가슴에 나라 잃은 한을 품고 혼을 불살라 이룬 조선인 손기정의 우승마저 일본에 빼앗겨서는 안된다”라며 민족지 언론으로써 자존심을 지키고자 했다.
□ 먼저, 동아일보 체육부장이었던 이길용 선생은 조선 청년이 세계를 제패했는데 그 사실을 제대로 쓸 수 없다는 분함에 대담한 생각을 하게 되고, “손기정의 사진에서 가슴의 일장기를 지우면 어떨까”라고 해서 미술 담당인 이상범 기자와 함께 손기정의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 버렸다.
ㅇ 이후 이 사실을 안 총독부에 의해 이길용 선생과 이상범 기자 등 5명은 종로경찰서로 끌려가 모진 고문과 구타로 곤욕을 치렀고, 이후 겨우 풀려났지만 일제의 압력으로 강제로 기자직에서 면직되었다.
ㅇ 이것이 바로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민족의 우수성을 과시하였던 ‘손기정 일장기 말소사건’이다.
□ 동아일보 사장을 지낸 송진우 선생은 일장기 말소사건 이후 민족지의 목소리를 지키기 위해 1937년 6월까지 10개월 동안 총독부로부터 동아일보 정간 협박에 맞섰다.
ㅇ 그러나, 총독부는 송진우 선생을 비롯한 임직원을 강제 면직시키고 관련 업무 종사를 못 하도록 명령했다.
□ 조선중앙일보는 1933년 2월 여운형 선생이 사장으로 부임하여 이끌어 오던 신문으로, 1936년 8월 13일자(조간 4면 우측 하단)에 손기정 선수의 가슴에 일장기를 지운 사진을 실었다.
ㅇ 조선중앙일보는 9월 5일자 석간에서 당국의 처분이 내리기 전에 자진 휴간을 선언했고, 이후 총독부가 속간을 허락하지 않아 반강제적인 휴간이 계속되었다.
ㅇ 여운형 선생은 속간을 전제로 한 총독부의 타협책을 거부하다 물러나고 말았고, 결국 조선중앙일보는 복간하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 이처럼 일장기 말소사건은 자주독립을 꿈꾸던 우리 민족의 염원과 저항정신을 세상에 증명한 거사인 동시에 광복에 이르는 긴 여정의 한 걸음으로 기록되었다.
□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이길용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송진우 선생에게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그리고 여운형 선생에게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이어 200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6주년 광복절" 박창신 선생 등 24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 (0) | 2021.08.14 |
---|---|
친일파로 의심되는 자가 독립운동가로 포장된 "최병규(崔秉圭) "(최재형 전 감사원장 조부) (0) | 2021.08.09 |
2021년 7월의 독립운동가,손일봉(孫一峯)·최철호(崔鐵鎬)·박철동(朴喆東)·이정순(李正淳) 선생 선정 (0) | 2021.06.30 |
2021년 6월의 독립운동가, 권오설(權五卨)·이선호(李先鎬)·박래원(朴來源)·이동환(李東煥) 선생 선정 (0) | 2021.05.31 |
2021년 5월의 독립운동가, 장매성(張梅性)·박옥련(朴玉連)·박현숙(朴賢淑)·장경례(張慶禮) 선생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