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삼여 선생, 김정희 선생, 백인숙 선생 등 76명 독립유공자 포상... 건국훈장 애족장 15명, 건국포장 13명, 대통령표창 48명 * 1949년 최초 포상 후 총 17,664명(여성 607명) 포상 - 건국훈장 11,684명, 건국포장 1,508명, 대통령표창 4,472명 □ 하와이 이주 120년 맞아 하와이 한인 묘비 탁본 사업으로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12명 국가주도 발굴, 학적부 등 자료 발굴 등 통해 광주학생운동 참여 독립운동가 5명 포상 □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선열들의 고귀한 생애와 정신을 온전히 계승할 수 있도록 알려나가고, 독립유공자 포상 확대 위해 최선” |
□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제83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미주 한인사회를 규합하고 독립운동 지원을 주장한 함삼여 선생(건국훈장 애족장)과 혈서 깃발을 들고 홀로 독립만세를 외친 김정희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등 76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ㅇ 함삼여 선생은 1910년 7월 이후, 미국 하외이에서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 통상대의원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고 군사단체를 후원했으며, 김정희 선생은 1919년 4월, 경북 영천에서 자신의 손가락을 찔러‘대한독립만세’라고 쓴 혈서 깃발을 만들고 홀로 독립만세를 외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의 옥고를 치르는 등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 이와 함께 미주 한인의 권익향상과 독립운동 지원활동을 한 백인숙 선생(건국포장), 일본 동경에서 조국 독립을 계획한 김흥구 선생(건국훈장 애족장),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을 당한 이옥 선생(대통령표창) 등도 독립유공자 포상이 전수된다.
□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애족장 15명, 건국포장 13명, 대통령표창 48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11명이다.
ㅇ 건국훈장 및 건국포장, 대통령표창은 제83회 순국선열의 날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전수된다.
□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포상된 1949년부터 이번 순국선열의 날까지 총 1만 7,664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됐으며, 건국훈장 1만 1,684명, 건국포장 1,508명, 대통령표창 4,472명이며, 이중 여성은 607명에 이른다.
□ 특히, 이번 포상에서는 국가보훈처의 자료 발굴 등의 노력으로,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12명과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 5명이 포함됐다.
ㅇ 미주지역 독립유공자는 지난 8월 국가보훈처의 하와이 지역 “한인묘비 탁본 사업”에 따라 공적 및 행적이 확인된 백인숙 지사 등 12명(여성 3명 포함)이며,
ㅇ 광주학생운동 관련 독립유공자는 국가보훈처의 학적부 등의 자료 발굴을 통해 독립운동 활동이 확인된 이옥 선생 등 5명(여성 3명 포함)이다.
- 국가보훈처는 학생운동 참여 독립유공자 발굴을 위해 현재까지 학적부 총 26만 9,667매를 수집하고, 이 중 독립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되는 2,596명을 확인하였으며, 추가 자료를 발굴과 보완을 통해 한 분이라도 더 늦기 전에 포상할 계획이다.
□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제83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조국독립을 위해 희생·헌신한 분들께 독립유공자 포상을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나라를 위한 선열들의 고귀한 생애와 정신이 우리의 후손들에게도 온전히 계승될 수 있도록 알려나가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독립유공자 포상 확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국가보훈처는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독립기념관 및 지방자치단체, 지방 문화원 등 유관기관과 독립운동 사료수집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하고, 국내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보다 다양한 독립운동 사례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포상자 명단(76명)
건국훈장 애족장 (15명)
고학조 高學祚 (3.1 운동) 김동완 金東完 (일본방면) 김두성 金斗星 (3.1 운동)
김말불 金末不 (3.1 운동) 김원섭 金元涉 (3.1 운동) 김정희 金正希 (3.1 운동)
김홍구 金鴻九 (일본방면) 김흥기 金興起 (국내항일) 양 홍 梁 鴻 (미주방면)
윤석태 尹錫泰 (만주방면) 윤 혁 尹 赫 (미주방면) 장세운 張世雲 (미주방면)
정연수 鄭延壽 (3.1 운동) 최지영 崔枝英 (중국방면) 함삼여 咸三汝 (미주방면)
건국포장 (13명)
고봉수 高鳳樹 (3.1 운동) 권승근 權承根 (미주방면) 김권봉 金權奉 (국내항일)
김예식 金禮植 (3.1 운동) 박신양 朴新陽 (국내항일) 백인숙 白仁淑 (미주방면)
오창익 吳昌益 (미주방면) 이민구 李民求 (국내항일) 이종헌 李鍾憲 (3.1 운동)
전봉업 全鳳業 (국내항일) 정순악 鄭舜岳 (국내항일) 정해면 鄭海冕 (임시정부)
한성준 韓成俊 (미주방면)
대통령표창 (48명)
곽복녀 郭福女 (학생운동) 김경열 金京烈 (국내항일) 김두필 金斗珌 (3.1 운동)
김명수 金明洙 (학생운동) 김소남 金小南 (학생운동) 김수봉 金守奉 (국내항일)
김영도 金永道 (미주방면) 김옥인 金玉仁 (3.1 운동) 김재한 金在漢 (학생운동)
김태호 金太鎬 (3.1 운동) 김필부리 金必夫里 (국내항일) 명옥진 明玉鎭 (3.1 운동)
박대묵 朴大黙 (국내항일) 박석오 朴碩五 (3.1 운동) 박승렬 朴勝烈 (국내항일)
박승하 朴勝夏 (국내항일) 박종문 朴鍾文 (학생운동) 박채순 朴采順 (국내항일)
박판용 朴判用 (국내항일) 서동균 徐東均 (3.1 운동) 신성집 申性執 (3.1 운동)
안학순 安學淳 (3.1 운동) 오종필 吳鍾珌 (학생운동) 유복만 柳福萬 (3.1 운동)
유인석 劉寅奭 (학생운동) 이계열 李啓烈 (국내항일) 이묘옥 李妙玉 (미주방면)
이시분 李時分 (3.1 운동) 이 옥 李 玉 (학생운동) 이요순 李要順 (학생운동)
이추수 李秋收 (학생운동) 이택춘 李澤春 (국내항일) 장길동 張吉同 (국내항일)
장윤익 張允益 (미주방면) 장재련 莊在連 (3.1 운동) 정국휴 鄭國休 (국내항일)
정대동 鄭大同 (국내항일) 정봉근 鄭奉根 (국내항일) 정석근 鄭碩根 (국내항일)
정시환 鄭時煥 (국내항일) 정일휴 鄭日休 (국내항일) 정휴익 鄭休益 (국내항일)
조병렬 曺秉烈 (국내항일) 조영호 趙英鎬 (3.1 운동) 최완철 崔完喆 (3.1 운동)
최한봉 崔漢鳳 (3.1 운동) 최환용 崔煥龍 (국내항일) 편영대 片永大 (미주방면)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월의 독립운동가, 하와이 한인사회 통합과 독립운동 이끈 <안현경·이원순 선생> 선정 (0) | 2023.01.02 |
---|---|
2022년 12월의 독립운동가<김상태·신태식·김동신> 선생 등 의병 3인 선정 (0) | 2022.12.12 |
2022년 11월의 독립운동가 박건병,강경선,배천택 선생 선정 (0) | 2022.11.01 |
2022년 10월의 독립운동가<이옥·유원우> 선생 선정 (0) | 2022.10.01 |
2022년 9월의 독립운동가<안원규·정원명> 선생 선정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