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은, 100년 전 우리 민족이 일제에 항거하여 독립을 염원하며 만세를 외쳤던 역사적인 날이지요. 서울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퍼져나간 만세시위는 임시정부 수립의 도화선 역할을 했고,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렸던 위대한 역사입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평범한 농민으로 1919년 3월 경기도 용인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돼 태형을 받은 홍재택 선생을 비롯해 대대적인 독립유공자 포상이 이루어집니다.
국가보훈처는 올해 제100주년 3·1절을 맞아 3·1운동과 학생운동, 의병, 국내·외 항일운동 등을 통해 조국 독립에 기여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333명을 발굴하여 건국훈장과 건국포장, 대통령표창을 추서합니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26명(애국장 8, 애족장 18), 건국포장 10명, 대통령표창 297명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으며 여성은 75명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독립유공 포상자는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건국훈장 10,965명, 건국포장 1,280명, 대통령표창 3,266명 등 총 15,511명(여성 432명)입니다.
훈·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100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각각 수여됩니다.
중앙기념식장에서 포상을 받는 독립유공자는 1908년 강원도 영월에서 정해창 의진에 소속돼 의병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돼 징역 2년을 받은 김현습(건국훈장 애족장, 의병, 남) 선생과 1936년 중국 상해에서 한인애국부인회 간부로, 각종 기념일에 임시정부 의뢰를 받고 기념 전단 인쇄와 배포 등의 활동을 한 안혜순(건국포장, 중국방면, 여) 선생으로, 각각 손·자녀가 서훈을 받을 예정입니다.
또한, 1945년 3월 경북 대구사범학교 심상과 재학 중 독립운동 비밀결사에 참가하여 활동하다 체포돼 퇴학을 받은 이해진(대통령 표창, 학생운동, 남) 선생과 1919년 4월 경 충남 청양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돼 태형 처분을 받은 명경식(대통령표창, 3·1운동, 남) 선생의 배우자와 자녀가 서훈자로 참석할 예정입니다.
이번 포상은 여성과 학생, 의병과 국내외 항일운동, 평범한 농민 등 다양한 분야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등 관련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발굴했고, 공적심사위원회의 심의와 검증 등을 거쳐 확정됐습니다.
국가보훈처는 앞으로도 독립기념관을 비롯한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등 관련기관과 사료수집 협업 체제를 강화해 국내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알려지지 않은 여성과 무명의 의병 등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그럼 이번 3·1절 100주년에는 어떤 분들이 포상 받게 되었을까요?」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 중 체포되어 순국한 의병장 정대억 선생
강원도와 충청북도 일대를 누비며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체포되어 순국한 정대억 선생께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됩니다.
37세의 젊은 나이에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것으로 보아 당시의 의병항쟁이 얼마나 치열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의사삼계원공을사창의유적(義士三戒元公乙巳倡義遺蹟)」
1905년 원용팔 의병장과 함께 의병 봉기를 한 박정수 선생(1859-1917)이 저술한 아래 기록에서 정대억 선생을 원용팔의진의 참모종사로 삼았다는 내용이 확인
▶ 대한독립만세 외치다 태형을 받은 고령의 농민, 홍재택 선생
3·1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형을 받은 홍재택 선생께 대통령표창이 추서됩니다.
1919년 3·1운동 당시 선생은 50세 고령의 평범한 농민으로, 3월 중순경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에서 마을 주민들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고 고초를 치렀습니다.
▲「범죄인명부」(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청 소장)
홍재택 선생이 1919년 4월 16일 용인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태 90도를 받은 내용이 확인됨.
용인군 수지면에서는 선생 외에도 윤만쇠(尹萬釗), 이달순(李達淳), 강춘석(姜春錫), 권병선(權丙璇), 김영석(金英石), 정원규(鄭元圭), 이희대(李喜大), 천산옥(千山玉), 진암회(陳岩回), 김원배(金元培), 김현주(金顯周), 남정찬(南廷燦), 최충신(崔忠臣), 이도해(李道海) 선생 등 14분에게 동일한 공적으로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습니다.
▶거액의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중형을 받은 조준묵 선생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중형을 받은 조준묵 선생께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됩니다.
선생은 1921년 3월 평안남도 대동군 시족면에서 대한독립청년단의 교통원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7년의 중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습니다.
▶오랜 기간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한 열혈여성, 장성심 선생
중국과 국내를 넘나들며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 독립운동가 장성심 선생께 건국포장이 추서됩니다. 선생은 사립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 여자청년회 활동으로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고 1921년 중국 남경으로 건너가 1924년 5월 흥사단에 입단, 이듬해 상해에서 활동하다 귀국했습니다.
1938년 10월,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다시 체포된 선생은 이후 상해로 다시 건너가 1940년까지 흥사단 단원으로 활동했습니다.
장성심 선생은 여성으로서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국내와 중국을 넘나들며 독립을 위해 활동한 흔치 않은 사례입니다.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1권(국사편찬위원회, 66면). 장성심 선생이 일본 경찰 고등과 수배 중일 때인 1927년경의 사진.
▶문학으로 독립을 위해 투쟁한 ‘고려인’ 문학의 태두, 조명희 선생
항일문학을 창작하여 민족의 독립의식을 일깨운 조명희 선생께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됩니다. 선생은 1921년 12월 동경에서 친일파를 응징할 목적으로 조직된 의권단(義拳團)에 가입해 활동했습니다.1937년 9월 18일 거주지 하바로프스크에서 ‘일본간첩’ 누명을 쓰고 소련 비밀경찰에 체포되어 이듬해 5월 11일 총살되었으며, 1956년 7월 20일 소련 극동주 군법재판소 결정으로 복권되었습니다. 조명희 선생의 「낙동강」, 「짓밟힌 고려」 등의 작품은 일제의 억압과 수탈에 대한 항일 민족문학 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독립운동 진영의 단결과 개혁을 역설한 이한호 선생
만주 북간도에서 3·1운동에 참여한 뒤 상해로 가 독립운동 진영의 개혁과 단결을 위해 노력한 이한호선생께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됩니다. 선생은 1895년 함경북도 성진 출신으로 1915년 10월 가족과 함께 북간도로 이주하였으며, 1919년 3월 16일 현지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한 후 상해로 갔습니다. 이후 1923년 1월부터 5월까지 북간도 독립운동 단체인 맹호단 단장 자격으로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해 독립운동 진영의 단결과 독립운동 최고기관 창설을 역설했습니다.
광복 후 초대 서독총영사를 거쳐 경제사절단장으로도 활약한 이한호 선생에 대한 포상은『불령단관계잡건』(일제 정보문서)과『독립신문』(임시정부 기관지) 등에서 활동 내용이 확인되어 이루어졌습니다.
▶ 포상자 명단
* 건국훈장 애국장 (8명)
마춘걸 (노령방면) 손건주 孫建柱 (3·1운동) 장효원 張孝元 (3·1운동) 정대억 丁大億 (의병)
정병용 鄭炳庸 (국내항일) 조명희 趙明熙 (노령방면) 조준묵 趙濬默 (국내항일) 최태환 崔台煥 (국내항일)
* 건국훈장 애족장 (18명)
김기순 金奇旬 (국내항일) 김여학 金麗鶴 (3·1운동) 김우락 金宇洛 (만주방면) 김은석 金殷錫 (3·1운동)
김현습 金顯習 (의 병) 김홍렬 金弘烈 (3·1운동) 민함나 閔함나 (미주방면) 백원억 白元億 (3·1운동)
손동창 孫東昌 (국내항일) 송광춘 宋光春 (3·1운동) 오의명 吳義明 (3·1운동) 유경흥 劉慶興 (국내항일)
이정숙 李貞淑 (중국방면) 이한호 李漢浩 (중국방면) 정상윤 鄭相允 (국내항일) 최석인 崔碩寅 (3·1운동)
한귀재 韓貴才 (학생운동) 황진남 黃鎭南 (임시정부)
* 건국포장 (10명)
강경옥 姜敬玉 (국내항일) 문또라 (미주방면) 박남규 朴南圭 (국내항일) 손기욱 孫基郁 (국내항일)
안혜순 安惠順 (중국방면) 윤인옥 尹仁玉 (국내항일) 장성심 張聖心 (국내항일)정성희 鄭聖凞 (3·1운동)
정영한 鄭永翰 (국내항일) 황종성 黃鍾聲 (3·1운동)
* 대통령표창 (297명)
강근득 姜勤得 (3·1운동) 강명하 姜明夏 (3·1운동) 강봉운 姜鳳雲 (3·1운동) 강상덕 姜相德 (학생운동)
강용봉 康龍鳳 (3·1운동) 강의순 姜義順 (학생운동) 강종진 姜鍾振 (3·1운동) 강지성 康至誠 (3·1운동)
강춘석 姜春錫 (3·1운동) 강태규 姜泰圭 (국내항일) 고연홍 高蓮紅 (3·1운동) 고원상 高元相 (3·1운동)
고태흥 高泰興 (3·1운동) 곽정현 郭貞鉉 (3·1운동) 곽태현 郭泰鉉 (국내항일) 구명순 具命順 (3·1운동)
구연욱 具然煜 (학생운동) 권병선 權丙璇 (3·1운동) 권한정 權漢鼎 (3·1운동) 기성룡 奇聖龍 (3·1운동)
김건명 金建明 (3·1운동) 김경삼 金慶三 (3·1운동) 김계향 金桂香 (학생운동) 김구화 金求和 (3·1운동)
김근필 金根弼 (3·1운동) 김낙인 金樂仁 (3·1운동) 김덕칠 金德七 (3·1운동) 김돌용 金突龍 (3·1운동)
김동집 金東集 (3·1운동) 김동화 金東化 (3·1운동) 김동희 金東姬 (학생운동) 김래문 金來文 (3·1운동)
김명옥 金明玉 (3·1운동) 김백능 金百能 (3·1운동) 김보원 金寶源 (국내항일) 김복희 金福熙 (3·1운동)
김봉근 金奉根 (3·1운동) 김사응 金思應 (3·1운동) 김성남 金成男 (3·1운동) 김성재 金成才 (학생운동)
김성재 金聖在 (3·1운동) 김성진 金成鎭 (3·1운동) 김성칠 金聖七 (3·1운동) 김수창 金壽昌 (3·1운동)
김수창 金洙昌 (3·1운동) 김숙현 金淑賢 (학생운동) 김순의 金順義 (3·1운동) 김신순 金申淳 (3·1운동)
김여귀 金汝貴 (3·1운동) 김영석 金英石 (3·1운동) 김옥산 金玉山 (3·1운동) 김용배 金龍培 (3·1운동)
김운제 金雲濟 (3·1운동) 김원배 金元培 (3·1운동) 김윤상 金允祥 (3·1운동) 김인보 金仁甫 (3·1운동)
김종련 金鍾鍊 (3·1운동) 김주석 金周錫 (3·1운동) 김지형 金芝亨 (학생운동) 김진여 金振汝 (3·1운동)
김진현 金鎭賢 (학생운동) 김찬호 金燦鎬 (학생운동) 김창주 金昌柱 (학생운동) 김춘만 金春萬 (3·1운동)
김타관 金他寬 (3·1운동) 김현서 金現西 (3·1운동) 김현주 金顯周 (3·1운동) 김호용 金浩溶 (3·1운동)
김희환 金希煥 (3·1운동) 나금주 羅金柱 (학생운동) 나상기 羅相基 (3·1운동) 나호균 羅浩均 (3·1운동)
남영실 南英實 (국내항일) 남윤희 南潤姬 (학생운동) 남인희 南仁熙 (국내항일) 남정찬 南廷燦 (3·1운동)
노구쇠 盧九釗 (3·1운동) 노옥암 盧玉岩 (3·1운동) 노인식 盧仁植 (3·1운동) 노희균 魯熙均 (3·1운동)
맹관득 孟寬得 (3·1운동) 명경식 明璟植 (3·1운동) 명상식 明商植 (3·1운동) 명성호 明成鎬 (3·1운동)
명재식 明載植 (3·1운동) 명홍룡 明洪龍 (3·1운동) 명회건 明會建 (3·1운동) 문남칠 文南七 (학생운동)
문봉식 文鳳植 (학생운동) 민금봉 閔今奉 (학생운동) 민부영 閔富寧 (학생운동) 민인숙 閔仁淑 (학생운동)
민임순 閔任順 (학생운동) 박경석 朴敬石 (3·1운동) 박계월 朴桂月 (학생운동) 박공식 朴公植 (3·1운동)
박금덕 朴金德 (학생운동) 박금숙 朴錦淑 (국내항일) 박낙구 朴洛龜 (국내항일) 박사중 朴士重 (3·1운동)
박사현 朴士玄 (3·1운동) 박상하 朴相夏 (3·1운동) 박성래 朴聖來 (3·1운동) 박성오 朴成五 (3·1운동)
박성집 朴成集 (3·1운동) 박수창 朴秀昌 (3·1운동) 박순용 朴順龍 (3·1운동) 박순학 朴順學 (3·1운동)
박응서 朴應西 (3·1운동) 박재삼 朴在森 (3·1운동) 박재하 朴宰夏 (3·1운동) 박준덕 朴準德 (3·1운동)
박준욱 朴準旭 (3·1운동) 박창래 朴昌來 (학생운동) 박칠봉 朴七奉 (3·1운동) 박태진 朴泰鎭 (3·1운동)
박학두 朴學斗 (학생운동) 박희만 朴熙萬 (3·1운동) 방재기 方載棄 (3·1운동) 배윤근 裵允根 (3·1운동)
배일언 裵日彦 (3·1운동) 백심서 白心瑞 (3·1운동) 백영하 白永河 (3·1운동) 변영규 邊英圭 (3·1운동)
변장성 邊長城 (3·1운동) 복윤길 卜允吉 (3·1운동) 복천복 卜千福 (3·1운동) 서강선 徐强先 (3·1운동)
서광춘 徐光春 (3·1운동) 서말음쇠 徐末音釗 (3·1운동) 설규성 薛奎成 (3·1운동) 설순좌 薛順佐 (3·1운동)
성만공 成萬公 (3·1운동) 성일영 成一永 (국내항일) 손경희 孫慶喜 (학생운동) 손병석 孫秉錫 (학생운동)
손성오 孫成五 (3·1운동) 손영선 孫永善 (학생운동) 손종헌 孫綜憲 (국내항일) 손호현 孫鎬賢 (3·1운동)
송옥현 宋玉鉉 (3·1운동) 송호조 宋好祚 (3·1운동) 송효진 宋孝鎭 (3·1운동) 송흥준 宋興準 (3·1운동)
신봉근 申鳳根 (3·1운동) 신애숙 申愛淑 (학생운동) 신운경 申云京 (3·1운동) 신일근 辛一槿 (학생운동)
신준관 申俊寬 (학생운동) 신태윤 申泰允 (3·1운동) 심상순 沈相順 (학생운동) 심상일 沈相一 (3·1운동)
심의식 沈宜植 (3·1운동) 심의철 沈宜喆 (3·1운동) 심 현 沈 玄 (국내항일) 안기봉 安基鳳 (3·1운동)
안재호 安載濩 (3·1운동) 안태호 安泰濩 (3·1운동) 안효봉 安孝奉 (3·1운동) 양금동 梁今童 (3·1운동)
양애심 梁愛心 (국내항일) 양유생 梁酉生 (학생운동) 양창구 梁昌求 (3·1운동) 양태원 楊泰元 (3·1운동)
양학녀 梁鶴女 (학생운동) 엄규영 嚴奎永 (학생운동) 오수남 吳壽男 (학생운동) 오업동 吳業同 (3·1운동)
오연길 吳淵吉 (3·1운동) 오용근 吳龍根 (3·1운동) 오웅묵 吳雄默 (3·1운동) 오창옥 吳昌玉 (3·1운동)
오충근 吳忠根 (3·1운동) 오탁영 吳鐸泳 (3·1운동) 오형만 吳亨萬 (학생운동) 오홍근 吳弘根 (3·1운동)
왕종순 王宗順 (학생운동) 유경술 兪庚戌 (학생운동) 유기정 柳基貞 (3·1운동) 유덕순 柳德淳 (3·1운동)
유성순 劉聖淳 (3·1운동) 유순덕 劉順德 (학생운동) 유윤천 柳允天 (3·1운동) 유진옥 劉鎭玉 (3·1운동)
유학선 劉學先 (3·1운동) 유현경 劉鉉景 (3·1운동) 유홍순 柳洪淳 (3·1운동) 윤경옥 尹璟玉 (학생운동)
윤마리아 尹馬利亞 (학생운동) 윤만쇠 尹萬釗 (3·1운동) 윤복순 尹福順 (학생운동) 윤선권 尹先權 (3·1운동)
윤수영 尹壽榮 (3·1운동) 윤순희 尹順嬉 (학생운동) 윤영만 尹永滿 (3·1운동) 윤용범 尹容範 (3·1운동)
윤 정 尹 淀 (3·1운동) 윤해영 尹海榮 (3·1운동) 윤형규 尹兄珪 (3·1운동) 이갑술 李甲述 (학생운동)
이경초 李敬初 (3·1운동) 이경희 李敬希 (학생운동) 이계빈 李啓濱 (3·1운동) 이계원 李癸媛 (학생운동)
이교옥 李敎玉 (학생운동) 이남규 李南奎 (학생운동) 이남숙 李南淑 (3·1운동) 이달순 李達淳 (3·1운동)
이도해 李道海 (3·1운동) 이동세 李東世 (3·1운동) 이명세 李明世 (3·1운동) 이민세 李民世 (3·1운동)
이봉금 李奉錦 (3·1운동) 이부성 李斧星 (학생운동) 이석후 李錫厚 (3·1운동) 이성윤 李成允 (3·1운동)
이수복 李壽福 (학생운동) 이 순 李 順 (학생운동) 이신천 李信天 (학생운동) 이양범 李陽範 (3·1운동)
이영신 李英信 (학생운동) 이영희 李英嬉 (학생운동) 이용녀 李龍女 (학생운동) 이의룡 李義龍 (3·1운동)
이인래 李麟來 (3·1운동) 이재백 李在白 (3·1운동) 이종구 李鍾謳 (3·1운동) 이중석 李重錫 (3·1운동)
이중현 李重顯 (3·1운동) 이천만 李千萬 (3·1운동) 이춘실 李春實 (3·1운동) 이치삼 李致三 (3·1운동)
이치순 李致順 (3·1운동) 이태순 李泰淳 (3·1운동) 이해진 李海鎭 (학생운동) 이홍규 李洪圭 (3·1운동)
이홍엽 李洪燁 (3·1운동) 이흥준 李興俊 (3·1운동) 이희대 李喜大 (3·1운동) 임동묵 林東默 (학생운동)
임만수 林萬洙 (3·1운동) 임숙명 林淑明 (3·1운동) 임우경 林遇慶 (3·1운동) 임철호 任哲鎬 (3·1운동)
장금암 張金岩 (학생운동) 장상림 張相林 (학생운동) 장준식 張俊植 (3·1운동) 전어진 全於眞 (학생운동)
정귀완 鄭貴浣 (학생운동) 정시영 鄭始永 (3·1운동) 정원규 鄭元圭 (3·1운동) 정태이 鄭泰伊 (학생운동)
조경호 趙經鎬 (3·1운동) 조기수 趙基守 (3·1운동) 조병대 曺秉大 (3·1운동) 조정준 趙靖濬 (3·1운동)
조춘백 趙春伯 (3·1운동) 주말순 朱末順 (학생운동) 지봉구 池鳳九 (3·1운동) 지상원 池相元 (3·1운동)
지은원 池恩源 (학생운동) 진암회 陳岩回 (3·1운동) 진유관 陳有寬 (3·1운동) 차은애 車恩愛 (학생운동)
천산옥 千山玉 (3·1운동) 천소악 千小岳 (학생운동) 최경갑 崔景甲 (3·1운동) 최낙희 崔洛僖 (3·1운동)
최덕임 崔德妊 (학생운동) 최만성 崔萬成 (국내항일) 최범성 崔範聲 (3·1운동) 최병호 崔秉浩 (국내항일)
최순찬 崔淳贊 (3·1운동) 최원신 崔元信 (3·1운동) 최윤식 崔允植 (3·1운동) 최은엽 崔銀燁 (국내항일)
최점옥 崔占玉 (3·1운동) 최충신 崔忠臣 (3·1운동) 추교철 秋敎喆 (국내항일) 하학룡 河學龍 (3·1운동)
한보심 韓寶心 (학생운동) 한연순 韓連順 (3·1운동) 한인수 韓仁洙 (3·1운동) 한철수 韓澈洙 (3·1운동)
한판석 韓判錫 (3·1운동) 함애주 咸愛主 (학생운동) 현만협 玄萬協 (국내항일) 현영택 玄永澤 (3·1운동)
홍경구 洪景九 (3·1운동) 홍금자 洪金子 (학생운동) 홍재택 洪在澤 (3·1운동) 황 운 黃 雲 (국내항일)
황원흡 黃元洽 (3·1운동) 황종갑 黃鍾甲 (학생운동) 황종범 黃種範 (3·1운동) 황학명 黃學明 (3·1운동)
황혜수 黃惠壽 (미주방면)
참고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3월의 독립운동가 손병희 선생 (0) | 2019.03.01 |
---|---|
독립유공자 후손 39명 대한민국 국적 취득 (0) | 2019.02.26 |
기미독립선언서 (0) | 2019.02.17 |
2019년 2월의 독립운동가 김마리아 선생 (0) | 2019.02.04 |
2019년도 1월의 독립운동가 유관순 열사 (0) | 2019.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