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관련

제105주년 3·1절 “민족자존과 자주독립을 태극기로 외친” 강달성 선생 등 103명 독립유공자 포상

용화(龍華) 2024. 2. 29. 13:58
728x90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105주년 31절을 맞아 충남 아산군 신창면에서 만세시위를 이끈 강달성 선생(애족장), 암살단 단원으로 친일파 처단에 앞장선 김화룡 선생(애족장) 103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강달성 선생19194, 충남 아산군 신창면 읍내리 학성산에서 독립만세를 외친 뒤 신창면사무소 및 헌병주재소 앞에서 시위에 참여하고 신창보통학교 앞에서 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16월을 받았다. 강달성 선생은 판결에 불복하는 한편 법정에서 만세시위는 조선 민족의 정의인도에 기초한 행동이므로 무죄라며 만세운동의 정당성을 당당히 밝혔다.

 

김화룡 선생19203월 의열투쟁 단체인 암살단에 가입, 19208 미국 의원단 내한을 앞두고 조선 전역에 독립의식을 고취하고자 독립운동 격문인 암살단 취의서4 매를 인쇄배포하고 시위를 준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다.

 

이와 함께 학생 신분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 선전활동에 참여한 이임창 선생(대통령표창), 독립운동 비밀결사 소척대를 결성한 한인택 선생(대통령표창), 일본 동경에서 비밀결사 무우단 단원으로 활동한 강증룡 선생(애족장) 등도 독립유공자 포상이 이뤄진다.

 

또한, 이번 포상에서는 과거 포상된 독립유공자와 동일 사건으로 활동했지만 포상받지 못했던 독립운동가에 대한 발굴포상도 이뤄졌다. 국가보훈부가 지난 2019년부터 진행해온 독립유공자 공적 전수조사 결과, 일본 고베(神戶) 조선인 민족주의 그룹 사건으로 1990년 포상된 신동하 선생(애족)의 독립운동 기록에서 그간 포상되지 못한 강석봉 선생의 활동을 추가로 발견하여 대통령표창을 수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05주년 31절을 맞아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103명이며, 이 중 건국훈장 17(애국장 4, 애족장 13), 대통령표창은 86으로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다. 건국훈장과 대통령표창은 105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후손에게 수여된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포상된 1949년부터 이번 31까지 18,018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되며, 이 가운데 건국훈장 11,738, 건국포장 1,519, 대통령표창 4,761명이고, 여성은 661명이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105주년 31절을 맞아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과 나라사랑 정신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근간이 되었음을 기억하고, 보훈이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핵심 가치가 될 수 있도록 한 분의 독립운동가라도 더 발굴하고 포상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국훈장 애국장 (4)

손중엽 孫仲燁 (만주방면)   윤상형 尹相馨 (의 병)   임인무 林仁武 (국내항일)
한용국 韓龍國 (만주방면)                

 

애족장 (13)

강달성 姜達成 (3.1운동)   강증룡 姜曾龍 (일본방면)   고창섭 高昌燮 (일본방면)
구성필 具聖弼 (3.1운동)   김덕선 金德善 (임시정부)   김화룡 金華龍 (의열투쟁)
문광덕 文光德 (만주방면)   백인섭 白麟涉 (3.1운동)   오치규 吳致奎 (의 병)
이필영 李弼榮 (국내항일)   이현속 李鉉續 (국내항일)   최응건 崔膺乾 (만주방면)
홍영유 洪泳裕 (학생운동)                

 

대통령표창 (86)

강석봉 康錫鳳 (일본방면)   강윤옥 姜潤玉 (3.1운동)   고운림 高雲林 (3.1운동)
국채의 鞠埰毅 (학생운동)   김낙진 金洛鎭 (의 병)   김남수 金南守 (3.1운동)
김동술 金同述 (3.1운동)   김석수 金石守 (일본방면)   김선수 金善洙 (3.1운동)
김순제 金順濟 (3.1운동)   김의선 金義先 (3.1운동)   김재주 金在周 (3.1운동)
김정철 金鼎澈 (학생운동)   김종삼 金鍾三 (3.1운동)   김주갑 金周甲 (3.1운동)
남극원 南極元 (학생운동)   명제승 明濟陞 (3.1운동)   박기동 朴基東 (3.1운동)
박선옥 朴仙玉 (3.1운동)   박송손 朴松孫 (학생운동)   박일환 朴逸煥 (학생운동)
박종경 朴鍾卿 (학생운동)   박준열 朴準烈 (3.1운동)   박희진 朴喜眞 (3.1운동)
백군언 白君言 (국내항일)   백남표 白南杓 (3.1운동)   백억출 白億出 (3.1운동)
복기성 卜箕聖 (3.1운동)   서복이 徐福伊 (3.1운동)   신병순 辛秉淳 (3.1운동)
심득춘 沈得春 (3.1운동)   심춘복 沈春福 (3.1운동)   엄복수 嚴福守 (3.1운동)
우덕진 禹德鎭 (3.1운동)   우석구 禹錫九 (3.1운동)   원강희 元康喜 (3.1운동)
유기영 劉基榮 (3.1운동)   유환동 兪煥同 (3.1운동)   윤봉영 尹鳳榮 (3.1운동)
이경도 李敬道 (3.1운동)   이교정 李敎政 (3.1운동)   이득영 李得榮 (3.1운동)
이득춘 李得春 (3.1운동)   이병헌 李炳憲 (3.1운동)   이북헌 李北憲 (3.1운동)
이석룡 李錫龍 (3.1운동)   이석성 李石性 (3.1운동)   이성국 李聖局 (3.1운동)
이성렬 李聖烈 (3.1운동)   이성순 李聖純 (3.1운동)   이수량 李秀樑 (3.1운동)
이수만 李守萬 (3.1운동)   이순태 李順太 (3.1운동)   이승희 李承曦 (3.1운동)
이요안 李堯安 (3.1운동)   이원하 李源夏 (3.1운동)   이유직 李有稙 (학생운동)
이임창 李壬昌 (국내항일)   이재준 李載準 (3.1운동)   이정복 李正福 (3.1운동)
이정헌 李正憲 (3.1운동)   이준겸 李俊謙 (임시정부)   이중하 李重夏 (3.1운동)
이창우 李昌雨 (학생운동)   이천보 李千甫 (3.1운동)   이철균 李澈均 (학생운동)
이춘명 李春明 (3.1운동)   이춘서 李春瑞 (3.1운동)   이학로 李鶴魯 (국내항일)
이희수 李希壽 (국내항일)   인영석 印永錫 (3.1운동)   임범준 林範俊 (3.1운동)
임성무 林成茂 (3.1운동)   임용학 林容學 (3.1운동)   임장춘 林長春 (3.1운동)
임종운 林鐘云 (3.1운동)   임천손 林天孫 (3.1운동)   정득량 鄭得亮 (학생운동)
정인옥 鄭仁鈺 (학생운동)   정진웅 鄭鎭雄 (학생운동)   최가만 崔可萬 (3.1운동)
최상기 崔相基 (학생운동)   최재선 崔載善 (학생운동)   하성동 河性東 (학생운동)
한인택 韓麟澤 (학생운동)   함여성 咸汝成 (3.1운동)        

 

출처 : 국가보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