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권쾌복(1921~2009)·배학보(1920~1992)·유흥수(1921~2016) 선생을 2021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권쾌복·배학보·유흥수 선생은 대구사범학교 내의 비밀결사인 ‘다혁당 (茶革黨) 사건’의 주요 인물들이다.
ㅇ 다혁당은 항일운동 역량을 하나로 결집하기 위해 대구사범학교 전 학년이 참여하는 단체를 만들기 위해 결성됐지만, 5개월 만에 일제에 발각되어 본격적인 활동은 하지도 못하고 와해 됐다.
□ 세 명의 선생은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어려운 가정 형편과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 모습에 매료되어 1937년 4월에 대구사범학교 심상과 9기생으로 입학했다.
ㅇ 그러나 민족차별 교육이 자행되던 학교에서 1939년 학생들의 노동력 강제동원과 일본과 조선학생의 마찰로 빚어진 왜관사건으로 폭발했으며 많은 대구사범학교 조선인 학생들이 본격적으로 항일운동에 뛰어드는 원인이 됐다.
ㅇ 세 명의 선생은 왜관사건 이후 조선 역사와 문학 관련 서적, 잡지 등을 읽고 시국에 관한 의견을 나누는 모임인 ‘백의단’을 결성했으며, 이후 다혁당으로 발전했다.
ㅇ 1940년에 감시와 통제가 심해지고, 그해 11월 23일 유흥수 선생은 독서회 참가자들과 일제 식민지로부터 벗어나 독립할 것을 목표로 하는 비밀결사인 ‘문예부(文藝部)’를 결성했고, ?학생(學生)? 이라는 잡지를 만들어 학생들에게 배부했다.
ㅇ 또한 다가올 독립에 대비할 목적으로 학문 분야를 연구하여 실력을 양성하는 또 하나의 비밀결사인 ‘연구회(硏究會)’가 조직됐다.
□ 1941년 2월 중순 유흥수 선생은 권쾌복 선생과 배학보 선생 등을 만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통합된 비밀결사 조직인 ‘다혁당(茶革黨)’을 결성했다.
ㅇ 다혁당은 조직 체계에서 당수와 부당수를 두고, 총무, 문예, 예술, 운동부 등 4개 부서를 두고 기존의 활동을 계승했으며, 특히 문예부 산하에 문예창작부와 연구부를 두었는데, 이전의 ‘문예부’와 ‘연구회’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ㅇ 권쾌복 선생은 당수를 맡았으며, 배학보 선생은 부당수를 맡고, 유흥수 선생은 문예부 산하 문예창작부 책임을 맡았다. 이렇게 통합되어 활발한 활동을 준비하던 다혁당은 갑작스러운 사건이 발생했다.
ㅇ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활동하던 정현이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내용이 발각되어 1941년 7월에 일제 경찰에 체포됐다.
ㅇ 수사과정에서 다혁당 활동이 발각되어 다혁당은 결성된 지 5개월여 만에 일제 경찰에 와해됐다. 이후 대규모 검거 열풍이 불어 1941년 12월에 35명이 재판을 받았는데, 이 시기 비밀결사 사건으로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ㅇ 다혁당 사건은 지식인들이 변절하고 항일운동이 침체 된 시기에 벌어진 운동으로, 조선의 독립을 확신하고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교육운동이자 민족운동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권쾌복 선생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배학보 선생은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유흥수 선생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3월의 독립운동가, 이인정(李寅正)·송재만(宋在萬)·한운석(韓雲錫) 선생 선정 (0) | 2021.02.26 |
---|---|
"제102주년 3‧1절" 홍범도 장군의 아들 홍양순 선생 등 275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 (0) | 2021.02.25 |
2021년 1월의 독립운동가 기우만(奇宇萬), 박원영(朴源永), 김익중(金翼中) 선생 (0) | 2021.01.01 |
2020년 12월 독립운동가 윤창하 (尹敞夏) 선생 선정 (0) | 2020.11.30 |
2020년 11월의 독립운동가, 유도발(柳道發)·유신영(柳臣榮) 선생 부자(父子) 선정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