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일제의 식민지배에 맞서 대를 이어 자결로 항일정신을 일깨운 유도발·유신영 선생 부자를 2020년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ㅇ 유도발(1832.6.~1910.10.음력)․유신영(1853.6.~1919.3.) 선생 부자는 풍산이 본관인 서애 유성룡의 10세, 11세 후손이다.
ㅇ 두 부자는 충효를 가업으로 삼아 경술국치와 광무황제 고종의 서거를 당해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아버지는 나라에 대해 의리를 실천했고 아들은 나라와 아버지에 대해 충효를 실천했다.
ㅇ 두 분의 자결은 일제의 식민지배에 맞선 항일투쟁의 일환으로, 그 죽음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남은 이들의 항일정신을 일깨워 독립운동에 나서게 만드는 울림이 됐다.
□ 먼저, 부친 유도발 선생은 1910년 8월 29일 일제에 의해 강제병합이 체결되자, 일제의 지배에 놓인 세상을 차마 살아갈 수 없다며 1910년 11월 11일 단식에 돌입했다.
ㅇ “종사가 망해 장차 남의 나라의 백성이 되겠으니 남은 해가 얼마 없는데 구차하게 살기를 도모하는 것은 욕된 일이 아닌가? 이후로는 다시 음식을 나에게 권하지 말라”는 유서와 함께 명정(銘旌)에 ‘대한처사(大韓處士)’로 써 줄 것을 부탁했다.
- 명정은 죽은 사람의 관직이나 이름을 적은 기(旗)로, 선생이 대한처사로 써 달라고 한 것은 죽어도 영원히 대한제국의 선비임을 천명한 것이다.
ㅇ 1910년 11월 27일 단식 17일째, 선생은 향탕으로 자신의 몸을 깨끗이 씻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 죽음은 일제의 강제병합에 대한 강력한 항거로, 사람들에게 항일정신을 일깨웠다.
□ 아들 유신영 선생은 선대의 가업을 철저히 익히고 항일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학문과 사상을 넓혀나갔다.
ㅇ 1895년 유인석 의진과 1896년 권세연 의진에 참여하여 적극적인 의병활동을 전개했으며, 이는 선생의 문집『하은유고(霞隱遺稿)』의 「행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ㅇ 1919년 1월 광무황제(고종)가 서거하자 친일파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퍼지자 “나는 나이가 많아 일할 수 있는 힘이 없다. 마땅히 목숨을 바쳐 나라의 원수를 갚겠다.”라고 하면서,
ㅇ 선생이 할 수 있는 투쟁 방법은 죽음 뿐이라며, 1919년 3월 3일 독약을 마시고 자결했다.
ㅇ 그의 죽음은 대를 이어 일제에 투쟁한 것으로, 남은 이들에게 맞서 싸울 것을 촉구하는 항일투쟁의 울림이 됐다.
□ 정부에서는 두 분 공훈을 기리기 위해 유도발 선생에게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유신영 선생에게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출처 : 국가보훈처
'독립운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월의 독립운동가 기우만(奇宇萬), 박원영(朴源永), 김익중(金翼中) 선생 (0) | 2021.01.01 |
---|---|
2020년 12월 독립운동가 윤창하 (尹敞夏) 선생 선정 (0) | 2020.11.30 |
2020년 10월의 독립운동가, 박영희(朴寧熙) 선생 선정 (0) | 2020.10.02 |
2020년 9월의 독립운동가, 채원개(蔡元凱) 선생 선정 (0) | 2020.09.01 |
독립유공자 포상현황(2020.8월 현재)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