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관련

2020년 3월의 독립운동가 김세환(金世煥) 선생

용화(龍華) 2020. 2. 28. 20:11
728x90

                 민족대표 48인의 한사람으로 광복의 씨를 뿌리고, 교육으로 구국의 길을 찾다’

- 2020 3월의 독립운동가, 김세환 선생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세환(1889.11.18. ~ 1945.9.26.) 선생을 2020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선생은 수원에서 출생하고 청소년시기에 교회에서 선교활동과 함께 교육과 구국활동을 펼치는 인물들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하였다. 이들의 영향으로 교육가 독립운동가로서 키워나갈 있었다.

  선생은 독립을 위한 ()학문의 중요성을 깨닫고 한성외국어학교를 졸업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에서 유학했다. 1909 말경 귀국하여 수원상업강습소( 수원중·고) 삼일여학교( 매향여중·고)에서 교사로 활동하며 후진양성 위해 지역사회의 중추적 인물을 배출하고 민족의 진로를 모색하는데 앞장섰다.  

  이후, 미국 윌슨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소식을 듣고 이를 독립의 기회로 삼고자 3·1운동 준비모임에 참여하였고, 민족대표 48인의 한사람으로 ‘순회위원’이란 막중한 임무를 띠고 수원지역의 3·1운동을 기획 지도하였다.

  만세운동 참여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선생은 기개를 잃지 않았고, 법정에서는 조선독립의 당위성을 역설하였다. “금후에도 운동을 계속할 것인가?”라는 검사의 질문에 선생은 “그렇다”라고 간단명료하게 대답하여 독립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법정에서 선생의 자세는 재판 과정을 지켜보던 한국인들에게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선생은 1920 10 30 경성지방복심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석방되었다.

  선생은 1920년대 초부터 추진되던 민립대학설립운동에 수원지역을 대표하여 참여하였고 신간회 수원지회장에 선출되었으며, 선태·김병호 등과 함께 수원체육회를 결성하여 수원지역의 민족운동을 조직적으로 강화하고자 하였다.

  1939 폐교 직전의 위기에 빠진 삼일학교를 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1941에는 수원상업학교를 설립하여 해방되기까지 교육에 힘썼던 선생은 1945 9 26 숨을 거두었으며, 개인묘지에 묻혔던 선생의 유해는 1968 국립묘지로 안장되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3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김세환 선생

출처:국가보훈처